POB에서 전반적인 탱킹 능력을 확인할 때 EHP가 사용된다면, 전반적인 딜링 능력을 확인할 때 Full DPS를 체크하는 방법이 있다.
1. Full DPS
Full DPS는 기본적으로는 보여지지 않기 때문에, 스킬창에서 메인으로 사용하는 스킬을 열어서, 윗쪽 옵션 중에 'Include in Full DPS'를 체크해주어야 한다.
'Include in Full DPS'를 체크하면 왼쪽 스탯창 맨 아래에 Full DPS가 표기된다.
특히 내가 사용하는 스킬이 여러개일 경우, 여러개 스킬들에서 모두 이 옵션을 체크해두면 모든 스킬이 사용됐을 때 스킬들의 DPS를 모두 합친 최종 DPS를 확인할 수 있다. 마무리 타격을 챙겼다면, DPS 총합의 10%가 마무리타격 DPS로 Full DPS에 추가되는걸 볼 수 있다.
각 스킬별 DPS 뿐만 아니라, 모든 스킬들을 종합해서 얼마만큼의 DPS가 나오는지 확인할 때 매우 유용하다. 개인적으로는 다른 사람의 POB를 불러오면 제일 먼저 하는게 Full DPS를 설정하고, 아래 있는 스킬 숫자/조건을 확인하는 것이다.
2. 스킬 숫자 세팅
POB의 스킬 창에서 스킬젬 가장 오른쪽에 'Count' 라는 옵션을 볼 수 있는데, 이건 이 스킬이 몇 개 발동했는지를 수동으로 세팅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나의 스킬이 동시에 두개 이상 적에게 맞을 수 있다면, 이 숫자를 수동으로 바꿔서 좀 더 정확한 Full DPS를 계산할 수 있다. 이 세팅은 Full DPS 계산에만 적용되고, 각 스킬별 DPS 계산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의 낙인 스킬같은 경우, 패시브에서 낙인 추가 부착 가능 왕노드를 찍었다면, 한 몹에 낙인이 2개까지 붙을 수 있기 때문에, Count를 2로 바꿔주면 좀 더 정확한 Full DPS계산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EAB 빌드에서 쇠뇌를 여러대 깔아둔다면 Count를 깔려있는 쇠뇌의 갯수로 설정해서 좀 더 정확한 Full DPS를 가져올 수 있다.
다만 대부분 POB를 공유하거나 닌자에서 불러오거나 할 때 이 숫자는 기본값(1)에서 변경 안하기 때문에, 추후에 헷갈리지 않기 위해서 걍 1로 놔두는게 낫다. 혹시 누군가 공유해준 POB의 DPS와 내 DPS가 현격하게 차이날 때, Count가 혹시 다르게 셋팅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자.
3. 스킬 조건 세팅
어떤 스킬들은 조건에 따라 DPS가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POB에서는 스킬 조건 세팅을 통해 DPS를 계산을 다르게 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얼음창 스킬의 경우, 투사체 샷건 (여러발이 동시에 발사 됐을때, 그 여러발이 하나의 몹에 중첩해서 데미지를 줄 수 있음)이 가능하고, 또 "두 번째 형태"에서는 별도의 치명타 확률/배율이 적용된다. 즉, 얼음창 투사체의 갯수와, 1차 형태인지 2차형태인지에 따라 DPS에 차이가 나는 것이다.
그래서 POB에 얼음창 스킬을 추가하고, 왼쪽 스탯창을 확인해보면 이런식으로 어떤 조건으로 DPS를 계산할 지 고를 수 있는 메뉴가 뜬다.
위에서부터, 1차 형태+ 1발만 맞았을 때, 2차 형태 + 1발 맞았을때, 1차 형태+모든 투사체를 다 맞았을때, 2차형태+모든투사체를 다 맞았을때...
보통은 맨 아래의 2차형태+모든투사체 옵션을 선택해서 (이 옵션에서 표시되는 DPS가 가장 높다), 가장 이상적인 상황에서의 DPS를 확인하게 된다.
근데 잘 생각해보면, 만약 2차 형태로 변환되는게 너무 느리거나, 모든 투사체가 몹을 때리지 못하게 된다면, 이 2차형태+모든투사체로 계산한 DPS는 실효성이 없다. 그래서 실제 빌드를 짤 때, 가능한 빨리 2차형태로 변환되게 하고 (투사체 속도 증가 등등..), 모든 투사체가 적을 최대한 맞출 수 있도록 다른 매커니즘들을 챙기는 것이다.
참고로 이 '조건'을 선택하는 메뉴는 각 스킬마다 모두 다르게 표시된다. 당연한게 스킬마다 작동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 이번시즌 핫한 소실의 속박의 낙인을 예로 들면...
'Energy Pulse' 혹은 'Max Pulse per Brand' 라는 두가지 옵션이 나오고, Energy Pulse가 선택된 경우 그 아래 Stages라는 숫자 입력 창이 나온다.
이것도 소실 속낙 젬 설명을 읽어보면 이해가 되는데.. 이 젬의 특성상 낙인이 한 번 활성화될때마다 '에너지'라는걸 1번 얻게 되고, 이 에너지가 중첩될수록 딜이 더 높아지며, 최대 20회까지 중첩될 수 있다. 그래서 Energy Pulse를 선택하고 Stages에 그 중첩 횟수를 넣으면 해당 중첩 상태에서 얼만큼의 DPS가 나오는지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최대 중첩이 20이니까 여기다 20을 넣고 DPS를 계산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더 생각해야 할 것이 바로 낙인의 지속시간와 활성화 빈도이다. 만약 낙인이 총 2초동안만 지속 되는데, 활성화는 0.3초마다 한번씩 된다면, 이 낙인은 2초동안 아무리 열심히 활성화 되더라도 6.666회 이상 활성화가 될 수 없다. 즉, 에너지 중첩이 6 이상 넘어갈 수 없는 것이다. 만약 이런 상황이라면 Energey Pulse에 20을 넣은 DPS는 실제로는 실현 불가능한 DPS가 된다.
그래서 조건 옵션 중에 Energey Pulse가 아니라 Max Pulse per Brand라는 옵션을 고르면, 이 낙인 활성화 빈도와 지속시간까지를 계산에 포함시킨 '최대 에너지 중첩' 상태에서의 DPS를 표기해준다. 뭐 이것도 매우 정확한건 아닌게, 여기서 보여주는 DPS는 에너지가 최대 중첩이 된 이후의 DPS이고, 실제로 에너지 중첩이 최대치까지 쌓이는 과정에서는 이것보다 더 낮은 DPS가 들어간다. 또 낙인 지속시간이 길지 않다면 최대 중첩 상태가 되자마자 낙인이 지속시간이 끝나서 초기화될테니 최대 에너지 중첩 상태가 지속되는 시간이 매우 짧다. 이 부분은 아마 POB가 좀 더 수정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함.
여튼 각 스킬별로 별도의 '조건' 리스트가 있고, 정확한 DPS를 계산하기 위해 이걸 현실적인 조건으로 선택해주는게 중요하다.
4. Configuration 탭 확인
POB는 결국 시뮬레이션 툴이기 때문에, 계산에서 사용되는 기본 전제에 따라 최종 계산되는 수치들이 크게 바뀐다. 이 '기본 전제'를 세팅하는 곳이 바로 Configuration 탭이다.
그러므로, 어떤 POB를 열어보건, 무조건 가장 먼저 할 것은 Configuration 탭에서 내가 원하는 '전제 조건'들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 부분은 따로 Configuratoin 탭에 대해 설명하는 글을 추후에 쓸 거 같은데, 그래도 간단하게만 알아보면..
설정 탭에서 'Is the enemy boss?' 에서 어떤 답을 선택하는지에 따라 DPS와 탱킹 모두 매우 다른 값들을 보여준다. 이건 POB에서 어떤 수치를 계산할 때 적의 저항이나 주는 데미지 등등을 모두 고려하여 계산을 하는데, 적이 보스인지 아닌지에 따라 몹이 가지는 저항값 같과 딜 양이 모두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건 'Is the enemy boss?'옵션을 고르는 화면에서 자세히 알 수 있다:
보스 여부 외에도, 가령 권능/격분/인내충전 같은 경우, 기본적으로는 Configuration에서 체크를 안해주면 이런 충전들이 없는걸로 표기되고, 반대로 Configuration 에서 체크를 하면 실제 인게임에서 이 충전들을 얻을수 있는지 여부랑 상관없이 무조건 충전이 있는걸로 계산된다. 그래서, 만약 충전을 얻는 방법이 전혀 없는데 이 옵션을 체크한다거나, 반대로 충전을 실제로는 제대로 얻는데 이 옵션을 체크 안한다거나 하면 부정확한 DPS가 계산되는 것이다.
이 외에도 Configuration 탭에 있는 거의 모든 옵션들이 DPS 계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대로 된 계산을 위해서는 이 빌드가 어떤 옵션들을 가질 수 있고 없는지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게 Configuration에서 설정해주는게 매우 중요하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빌드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어야한다.
'POB'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B의 설정(Configuration) 탭 주무르기 (1) | 2024.01.27 |
---|---|
방어도 측정 - EHP와 Max Hit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4.01.25 |